본문 바로가기
학교 수업/컴퓨터 네트워크

5장, Network layer :: AS 내부의 라우팅/ intra AS routing / OSPF

by Godgil 2020. 6. 21.

[컴퓨터 네트워크] - 5장,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Link State, Distance Vector

 

5장, Network layer :: Control Plane, Link State, Distance Vector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하는 일을 먼저 복습하자. 크게 두 가지가 있었어, 포워딩과 라우팅이야. 포워딩은 인풋으로 들어온 패킷을 아웃풋으로 내보내는 것이고 Data Plane이고, 라우팅은 포워딩 테�

god-gil.tistory.com

위의 글에서, 라우팅 알고리즘에는 LS와 DV가 있다고 했었지?

근데 생각 해 보면, 라우터가 수천개가 넘을텐데, 저렇게 메세지를 교환하는 방식은 너무 비효율적이지 않을까?

 

전 세계의 라우터가 같은 정보를 가지려면, 그건 또 그거대로 시간도 오래 걸릴거고, 양도 많아질거야

게다가 LS와 DV는 혼용해서 사용한다고 했는데, 이건 또 어떻게 해석할까?

 

바로 AS의 개념으로 이해 할 수 있어.

AS는 Autonomous system의 약자이고, 한국말로 자율시스템? 정도로 알면 될 거같아.

 

AS안에는 여러 라우터가 속해 있고, 관할하는 서브넷들이 서로 연결 되어 있어, 또 이 여러개의 AS들이 AS끼리 연결되어서 네트워크를 이루는거야.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기관이 관할하는 서브넷들의 집합이 AS고, 이 각각의 AS는 각자의 분명한 라우팅 정책을 가지고 내부에서 돌아가는거야. 자율적으로 맡긴다 이거지.

 

 

자 그렇다면, 당연히 AS 내부에서의 라우팅과 AS와 AS 사이의 라우팅이 존재하겠지?

오늘은 그걸 배워볼거야.

 

먼저 AS 내부의 라우팅인, intra AS 라우팅을 살펴보자.

RIP, OSPF, IGRP 등 프로토콜이 사용되는데,

 

OSPF에 대해 알아볼거야.

OSPF는 Open Shortest Path first의 약자야. 링크 스테이트 알고리즘을 사용해.

AS 내부의 모든 라우터들은 AS안에 어떤 서브넷이 존재하고, 그 서브넷이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모두 알고 있는거지.

 

각 라우터가 자신을 출발지로 해서 AS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라우터로 가기 위한 최선의 경로를 계산하고, 그 경로를 포워딩 테이블에 반영해서 가지고 있는거야.

이런 형태로 IP위에 올려져서 AS내부 전체에 뿌려지는거야.

 

OSPF는 계층성을 제공하는데,

이게 뭐냐면, 링크 스테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메세지의 양이 많아진단 말이야,

그래서 backborn 네트워크와 local로 나눈다는거지

 

이렇게 해 놓으면 장점이 뭘까?

각 라우터는 상태 정보를 뿌리고 수집하고 해야하는데, 이런 부담이 area단위로 나눠져서 

부담이 적어지는거지, 수백개의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다 알 필요 없고,

내 지역에 속한 라우터들의 정보만 알고, 다른 라우터에 대해서는 어떤 라우터를 거쳐서 가면 된다 정도만 알면 되는거거든

 

계층성이 없다면 

모든 라우터들은

이런 정보를 다 같이 알고 있어야해.

하지만 계층성을 확보를 한다면

이렇게 지역으로 쪼개져서 각 부분만 알면되는거야, 메세지의 양이 상당히 줄어들었지?

 

OSPF는 굉장히 복잡한 프로토콜이여서, 이정도만 알고 넘어갈거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