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6

[백준 알고리즘/python] 백준 2941번 크로아티아 알파벳,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2941번 크로아티아 알파벳, 파이썬 이번 문제는 백준 알고리즘의 2941번 크로아티아 알파벳 문제이다. 파이썬으로 풀어보았다. 크로아티아 알파벳 표가 주어지는데, 이를 이용해서 주어진 단어가 몇 개의 크로아티아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구현하는 문제. 나는 솔직히 이 문제 쪼끔 어려웠다. 생각하는 시간이 좀 늘어났고, 코드 짜는데도 오류가 많이 났었다. 먼저 문제의 조건이다. # 조건 1. 첫째 줄에 최대 100글자의 단어가 주어진다. # 조건 2. 단어는 크로아티아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다. # 조건 3. 표를 제외하고는 원래 알파벳과 동일하다. 이 문제에 대한 내 생각을 정리 해 봤다. # 생각 1. 리스트에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추가한다. # 생각 2. 반복문을 통해 문자열에서 크로.. 2020. 3. 19.
[백준 알고리즘/python] 백준 5622번 다이얼,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5622번 다이얼, 파이썬 이번 문제는 백준 알고리즘의 5622번 다이얼 문제이다. 역시나 파이썬이다. 처음에 봤을땐 솔직히 뭔 문제지 싶으면서 머리가 띵 했다. 하지만 점차 이해가 되면서 어떻게 풀어야 할 지 감이 왔다. 그러니까 이 문제는, 전화를 걸고 싶은 곳이 있으면 다이얼을 돌려서 전화를 걸어야 하는데, 할머니는 전화번호를 각 숫자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통해 외운다. 알파벳이 주어 졌을때, 이 알파벳이 의미하는 전화번호를 걸 때 걸리는 시간을 구하라는 문제이다. 문제의 조건이다. # 조건 1. 숫자 1을 걸려면 2초가 걸리고, 한 칸 옆에 있는 2를 걸려면 1초가 더 소요된다. # 조건 2. 전화를 걸 때, 알파벳을 외워서 전화를 건다. # 조건 3. ABC = 2, DEF = 3,.. 2020. 3. 19.
[백준 알고리즘/python] 백준 2908번 상수,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2908번 상수, 파이썬 이번 문제는 백준 알고리즘의 2908번 상수 문제이다. 파이썬으로 풀어봤다. 결국 문제는 숫자가 두개 주어지는데, 이 숫자를 거꾸로 뒤집어서 대소를 비교하는 문제이다. #조건 1. 첫쨰 줄에 두 수 A,B가 주어진다. #조건 2. 두 수는 같지 않은 세자리 수이며, 0이 포함되어 있지않다. 문제에 대한 내 생각이다. #생각 1. 거꾸로 돌리는 건 for문에서 i를 반대로 읽으면 될 것 같다.( 세자리 수 고정이니까) #생각 2. 그 수를 따로 저장해서 대소를 비교하고 출력 생각에 대한 내 코드이다. num1, num2 = input().split() numA, numB = str(), str() for i in range(-1,-4,-1):# 세 자리수 고정이라서 .. 2020. 3. 19.
[백준 알고리즘/python] 백준 1152번 단어의 개수, 파이썬 백준 알고리즘 1152번 단어의 개수, 파이썬 이번에는 백준 알고리즘의 1152번 단어의 개수 문제이다. 파이썬으로 풀어보았다. 문제 자체는 간단하다. 문장이 주어지는데, 이 문장에서 단어의 개수를 찾으면 된다. #조건 1. 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띄어쓰기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 #조건 2. 단어는 띄어쓰기 한 개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조건 3. 문자열의 앞과 뒤에는 공백이 있을 수 있다. 문제에 대한 내 생각이다. #생각 1.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받는 .split을 활용 해서 문자열 리스트에 넣는다. #생각 2. 리스트의 길이가 곧 단어의 개수이다. 바로 코드를 짜 내려 갔다. 짧았다. string = list() string = input().split() print(len(string)).. 2020. 3. 19.
[파이썬/python] 리스트의 원소로 인덱스에 접근하기 리스트의 원소를 가지고 있을 때, 인덱스에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좀 자주 쓰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남겨두려고 한다. 코드로 들어가보자. lst = [1,2,3,4,5,6] print(lst.index(3))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위처럼 값을 가지고 있을 때, 3이라는 값의 인덱스를 찾고싶으면 .index(x)를 통해 인덱스로 접근이 가능하다. 리스트 인덱스의 처음은 0이니까 3인 값은 lst[2]에 존재하니 2를 반환 했다. 단, 주의할 점이 있는데, lst = [1,2,3,4,3] print(lst.index(3))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Process finished wit.. 2020. 3. 19.